컴퓨터 디스플레이 표준은 개인용 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겪으며, 해상도, 가로세로비, 색 깊이, 재생률 등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초기에는 텍스트 기반에서 시작하여 컬러 그래픽, 고해상도, 와이드스크린 시대를 거쳐 4K, 8K UHD 해상도까지 발전했다. VGA, SVGA, XGA, WXGA, FHD, QHD, UHD 등이 대표적인 표준이며, VESA와 같은 산업 단체에서 정의하고 제조업체는 이를 준수하여 제품을 개발한다. 화면 모드는 디스플레이의 총 화소 수, 재생률, 색 심도 등을 정의하며, 텔레비전 방송, 컴퓨터,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VESA - VESA 로컬 버스 VESA 로컬 버스는 1990년대 초 ISA 버스의 대역폭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로열티 없는 로컬 버스 표준으로, 486 프로세서의 메모리 버스에 직접 연결되어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했으나, 여러 한계로 인해 PCI 버스로 대체되기 전까지 486 시스템에서 고성능 장치를 저렴하게 사용하도록 널리 사용되었다.
VESA - 미니 디스플레이포트 미니 디스플레이포트는 DisplayPort의 소형 버전으로, 높은 해상도를 지원하며 어댑터를 통해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하지만, DRM 콘텐츠 재생 제한, 어댑터 호환성, 초기 모델의 오디오 출력 미지원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썬더볼트 인터페이스로 발전했다.
그래픽 표준 - WebGL WebGL은 웹 브라우저에서 3차원 그래픽을 렌더링하기 위한 API이며, OpenGL ES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웹 브라우저와 모바일 환경에서 지원된다.
그래픽 표준 - 크로노스 그룹 크로노스 그룹은 AMD, 애플, 구글, 엔비디아, 삼성 등 주요 기술 기업들이 참여하는 비영리 컨소시엄으로, OpenGL, Vulkan, OpenCL, glTF 등 그래픽 및 컴퓨팅 관련 개방형 표준 API를 개발하고 관리하며 메타버스 상호 운용성 표준 개발에도 기여한다.
컴퓨터 디스플레이 표준 - 해상도 해상도는 1인치당 픽셀 또는 점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미지의 선명도를 결정하며 DPI와 PPI 단위를 사용하고, 높을수록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다.
컴퓨터 디스플레이 표준 - QVGA QVGA는 320×240 픽셀 해상도를 가진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표준이며, 가로 길이를 확장한 QVGA+, 와이드 QVGA, 와이드 QVGA+, 풀 와이드 QVGA 등 다양한 파생 규격들이 존재한다.
컴퓨터 디스플레이 표준
개요
분류
컴퓨터 모니터, 디스플레이 장치, 텔레비전
관련 항목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크기 화면 비율 픽셀 밀도 주사율 (디스플레이) 색 심도 고해상도 텔레비전 초고해상도 텔레비전
ITU-R BT.601 ITU-R BT.709 ITU-R BT.2020 VESA DisplayPort HDMI
기타
관련 기술
픽셀 해상도 (이미지) 화면 비율 인치 당 픽셀 (ppi)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그래픽 카드 LCD 모니터 OLED 주사율 (디스플레이) 적응형 동기화
2. 역사
컴퓨터 디스플레이 표준은 개인용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MDA와 같이 단순한 텍스트 기반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되었다. 이후 CGA, EGA, VGA 등 컬러 그래픽을 지원하는 표준이 등장했다.[1]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는 SVGA, XGA 등 더 높은 해상도를 지원하는 표준이 등장하여 더욱 선명하고 다채로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와이드스크린 디스플레이가 보편화되면서 WXGA, WSXGA+, WUXGA 등 다양한 와이드 해상도 표준이 등장했다.
TVM MD-3 음극선관(CRT) 모니터 전면 및 후면 모습(확장 그래픽스 어댑터(EGA) 시대). DE-9 커넥터, 암호 모드 스위치, 전면의 명암비 및 밝기 조절, 후면의 V-Size 및 V-Hold 노브가 있는데, 각각 크기 조절 및 CRT 재생률 동기화를 제어한다.
비디오 해상도 비교. 곡선은 100만, 200만, 300만, 400만 또는 500만 픽셀 이상인 해상도의 임계값을 보여줍니다.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나타낼 때, 기본 해상도에 특정 수정 사항을 가리키는 접두사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쿼터 (Q 또는 q)''': 기본 해상도의 1/4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QVGA는 VGA 해상도의 가로 및 세로가 절반인 320x240 해상도를 가리킨다.[4]
'''와이드 (W)''': 가로 해상도를 늘려 와이드스크린 형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WXGA는 XGA보다 가로로 더 넓은 해상도를 갖는다. 와이드 해상도는 일반적으로 16:9나 16:10의 화면 가로세로비를 가진다.
'''풀 (F)''': FWVGA와 같이 기본 해상도와 다르다는 것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FWVGA는 854x480 해상도를 가리킨다.
'''쿼드러플(Quadruple) (Q)''': 기본 해상도의 4배 많은 화소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QHD는 HD 해상도의 4배이다.
'''헥사데카터플(Hexadecatuple) (H)''': 기본 해상도의 16배 많은 화소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울트라 (U)''' / '''확장 (X)''': 모호하게 해상도를 나타내는 접미사이며, WQXGA, WHUXGA와 같이 위의 접두사들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슈퍼(super)"와 "울트라(ultra)"는 표준 해상도에 대한 특정한 수정 사항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접두사들은 특정한 의미를 가진다.
5. 화소 밀도 (픽셀 밀도)
화소 밀도(Pixel Density)는 디스플레이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단위 면적당 픽셀 수, 주로 ppi(pixels per inch)로 표시되며, ppi가 높을수록 더 세밀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도트 매트릭스형 전자 디스플레이(이하 디스플레이)에서는 픽셀을 가로, 세로로 배열하고, 그 점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빨강, 녹색, 파랑의 3개의 부화소(서브 픽셀) 각각의 휘도를 제어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내며, 일반적으로 부화소 3개를 합쳐 하나의 정방형 화소로 구성한다. 예외로, 샤프의 『콰트론』에서는 빨강, 녹색, 파랑, 노랑의 4색, 재팬 디스플레이의 『WhiteMagic』[5]에서는 빨강, 녹색, 파랑, 흰색의 4색으로 정방형 화소를 구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표시 크기에서 비교할 경우, 화소수가 많을수록 더 섬세하고 깨끗한 표시가 가능하다. 즉, 표시 화면상의 길이당 존재하는 화소수(해상도)에 따라 표시의 정밀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의 수평 길이가 10 cm이고 수평 방향 화소수가 1,000개"인 경우와 "표시 영역의 수평 길이가 20 cm이고 수평 방향 화소수가 2,000개"인 경우, 수평 방향의 화면 해상도는 동일한 10 pixels/mm가 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역사적으로 플라스크 바닥 모양의 원형 브라운관의 직경 해상도를 나타낸 경위로 인해, 현재에도 수평 길이가 아닌 화면 외접원의 직경, 즉 대각선의 정밀도로 표시된다.
ISO 가맹국에서도 해상도의 단위는 1 인치 (= 25.4 mm)당 화소수(단위는 dpi: dots per inch 또는 ppi: pixels per inch)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모바일 기기 환경이나 4K 디스플레이 등, 화면 해상도(밀도)는 다양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플랫폼별로 제공되는 방법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화면 해상도에 대응시킬 수 있다.[12][13][14][15][16]
5. 1. 단위
도트 매트릭스형 전자 디스플레이(이하 디스플레이)에서는 화소(픽셀)를 가로, 세로로 배열하고, 그 점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점의 물리적인 배열은 "도트 피치", 1인치당 도트 수는 "dpi"로 표기되지만, 화면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인쇄 분야의 단위와 구별할 목적으로 '''ppi'''가 종종 사용된다. 이는 계조 표현 능력이 다른 기술에 동일한 단위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혼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5]
예를 들어 인쇄의 100dpi와 디스플레이의 100pixels/inch를 같은 단위(dpi)로 표현하면 마치 같은 표현 능력인 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단색 2값 데이터만으로 비교하면 동등하지만, 인쇄에서는 망점을 사용하여 다색·다계조를 표현하기 때문에 물리적 해상도가 떨어진다(주변 도트를 이용하기 때문). 반면 디스플레이의 화소에서는 256계조나 4096계조와 같은 다치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100pixels/inch 쪽이 표시 능력이 높고 정보량이 많아진다. 본고에서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우려가 없으므로 dpi와 ppi를 동일하게 기재하고 있다. 이는 예를 들어 1,000픽셀의 이미지를 100% 표시하면 1,000도트가 되는 것에 기인한다.
클래식 Mac OS/macOS의 경우, 1984년에 초대 Macintosh가 출시된 이후, Retina 디스플레이가 등장하기 전까지 화면 해상도는 72dpi로 통일되어 있었다[6][7]。이는 WYSIWYG 설계 사상의 구현에 기반하여 1포인트를 1픽셀에 상당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Microsoft Windows의 경우, Windows XP 이전 버전에서는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96dpi로 가정되어 왔다[8]。
5. 2. 대표적인 해상도
과거 클래식 Mac OS/macOS는 1984년 초대 Macintosh 출시 이후 Retina 디스플레이 등장 전까지 화면 해상도를 72dpi로 통일했다.[6][7] 이는 1포인트를 1픽셀에 상당하게 한 WYSIWYG 설계 사상 구현에 기반한다.
Microsoft Windows는 Windows XP 이전 버전까지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96dpi로 가정했다.[8] XP에서는 96dpi와 120dpi 두 가지 DPI 값 및 사용자 지정 DPI 설정이 도입되었으나, XP의 DPI 스케일링은 사실상 두 값으로 고정되었다. Windows Vista에서는 DWM과 함께 DPI 가상화 기술이 도입되어, 시스템 DPI 인식을 지원하지 않는 오래된 응용 프로그램도 96dpi 가상 환경에서 강제 작동이 가능해졌지만, 텍스트 렌더링 결과가 흐릿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Windows 7에서는 Direct2D가 도입되어 응용 프로그램의 고DPI 지원이 용이해졌다.[10]
6. 화면 (디스플레이) 모드
화면 모드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총 화소 수(가로x세로), 재생률, 색 심도 등을 정의한 것이다. 특정 화면 모드를 표시하려면 비디오 카드 성능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사양이 해당 모드를 지원해야 한다.[1]
컴퓨터 역사에서 다양한 규격이 사용되었으며, 화면 모드 표시는 비디오 카드 성능에 의존한다. 특정 화면 모드를 쓰려면 해당 비디오 카드가 필요한 용량의 비디오 메모리를 탑재하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사양에 맞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해당 해상도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사용해야 한다.[1]
디지털 카메라 컬러 촬영 장치는 광감 "화소"에 대해 디스플레이에서 서브 픽셀로 취급하는 것을 "화소"로 취급, 총 화소 수를 계산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양 화소 수가 같아도 컬러 촬영 장치보다 디스플레이가 고화질인 경향이 있다. 예로 컬러 촬영 장치 촬영 "화소"가 정사각형 베이어 배열이면, 보통 디스플레이가 4배 해상도가 높다.[1]
소비자용 컬러 텔레비전 제품에서 화면 해상도와 거의 같은 뜻인 "''definition''"이 "화질"로 불리는 경우가 많지만, 원래 화면 해상도만으로 화질이 결정되지는 않는다. 화질을 좌우하는 요소는 각 화소가 표시 가능한 색상 수나 재현성 등 다른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1]
화면 해상도에 따른 크기와 화소 밀도의 관계
대부분 해상도에서 4로 나누어 떨어지는 짝수가 사용되지만, 단일 홀수가 사용되거나, 화면비를 우선해 홀수가 채택되기도 한다.[1]
브라운관에는 표시되지 않는 영역(블랭킹 기간)이 있지만, 사양상 인치 수는 표시 영역 대각선 길이가 아닌 관 자체 대각선 길이이다.
6. 1. 대표적인 화면 모드의 표시 총 화소수
화면 모드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총 화소 수(가로x세로 픽셀 수)를 의미하며, 재생률, 색 심도 등의 값도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 역사상 다양한 규격이 사용되어 왔으며, 특정 화면 모드를 표시하려면 비디오 카드의 성능과 비디오 메모리 용량,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사양, 그리고 디스플레이 자체의 해상도 표시 능력이 모두 뒷받침되어야 한다.[1]
디지털 카메라의 컬러 촬영 장치와 디스플레이는 화소 수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다. 컬러 촬영 장치는 서브 픽셀을 "화소"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아, 사양 화소 수가 같더라도 디스플레이 쪽이 고화질인 경향이 있다.[1]
소비자용 컬러 텔레비전 제품에서는 "화질"이라는 용어가 화면 해상도와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각 화소가 표시할 수 있는 색상 수, 재현성 등 다양한 요소가 화질을 결정한다.[1]
다음은 픽셀 수가 적은 순서대로 나열한 화면 모드의 종류이다. 대부분의 해상도는 4로 나누어 떨어지는 짝수이지만, 단일 홀수가 사용되거나 화면비를 우선하여 홀수가 채택되는 경우도 있다.[1]
PC에서는 일반적인 아날로그 텔레비전 화면을 본뜬 가로:세로 비율 '''4:3'''의 해상도(640×480, 800×600, 1024×768 등)가 오랫동안 사용되었지만, 윈도우 비스타가 등장한 2005년경부터 HDTV(디지털 텔레비전 포함)나 영화 등과의 비율에 가까운 16:10(8:5) 또는 16:9와 같은 가로가 긴(와이드) 화면이 많아지고 있다. 2016년 현재, '''16:9''' 화면비 (1280×720, 1366×768, 1920×1080 등)가 주류이다. 이 때문에 화면비는 서로소가 되는 정수 외에도 4:3 또는 16:9에 비해 얼마나 다른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정보 디스플레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에서는 종종 90도 회전시켜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바뀐 상태로 사용된다.
6. 2. 규격
대표 사례: 초대 iPhone, 3G, 3GS, iPod touch (1 - 3세대), HT-03A 등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단말기, 액정) 2008년 9월 24일 발표, 2008년 10월 22일 발매 "T-Mobile G1 (HTC Dream)" 3.2형, (안드로이드 단말기, 유기 EL) 2009년 6월 삼성전자 발매 Galaxy 3.2형
Mac 9″ gray영어
512
342
약 3:2
175,104
(일체형 PC) 애플 발매 "Macintosh 128K" 9형 흑백 CRT
Mac 9″ color영어
512
384
4:3
196,608
EGA (Enhanced Graphics Adapter)영어
640
350
4:3
224,000
IBM PC AT 표준 비디오 규격. MDA, CGA 상위 호환.
PC-98영어 DCGA (Double Scan CGA)영어
640
400
8:5 (16:10)
256,000
대표 사례: Apple Macintosh Portable 및 초대 PowerBook, J-3100, FMR-50 등
IBM PS/2 채용 비디오 규격. MDA, CGA, EGA, MCGA 상위 호환. DOS/V 지원. 단순히 640x480 해상도 통칭으로도 사용. 동일 해상도는 AX (JEGA) 등. 대표 사례: Mac 13인치, 초기 액정 TV, 2010년대 키즈용 디지털 카메라 고화질 모드, 1996년 6월 닌텐도 발매 거치형 게임기 "NINTENDO64" 등. MUSE 등 제외 아날로그 방송(특히 NTSC, 480i)이나 DVD를 PC용 정방형 화소 모니터 출력 시 일반적 해상도. (아날로그 TV 규격 자체는 원래 도트 정사각 아닌 장방형, 이것과는 해상도 약간 다름.)
WVGA (Wide VGA)영어
800
480
5:3 (15:9)
384,000
대표 사례: 2006년경 휴대 전화, (안드로이드 단말기, 유기 EL) 2010년 4월 27일 Google 발매 HTC제 "Nexus One" 3.7형
FWVGA (Full Wide VGA)영어
854
480
427:240 (약 16:9)
409,920
대표 사례: (일본 휴대 전화, 액정) 2007년 4월 23일 NTT 도코모 발표 일본 전기제 "N904i" 3형, (안드로이드 단말기, 액정) 2010년 1월 21일 NTT 도코모 발표 소니 에릭슨제 "Xperia SO-01B" 4형
FWVGA++ (Full Wide VGA++)영어
960
480
2:1 (18:9)
460,800
(일본 휴대 전화, 액정) 2009년 5월 25일 KDDI, 도시바 발표 도시바제 "biblio (TSY01)" 3.5형, (안드로이드 단말기, 액정) 2010년 3월 30일 KDDI 발표 샤프제 "IS01" 5형
SVGA (Super-VGA)영어
800
600
4:3
480,000
VGA 상위 호환 비디오 규격 총칭. 일본 DOS/V 초기 하이 텍스트 (V-text) 등 지원.
UWVGA (Ultra Wide VGA)영어 HXGA (Half XGA)영어
1024
480
32:15 (약 21:9)
491,520
대표 사례: 1998년 9월 19일 소니 발매 노트북 컴퓨터 "VAIO C1 (PCG-C1)" 8.9형 액정, (일본 휴대 전화, 액정) 2008년 10월 30일 소프트뱅크 모바일 발표 샤프제 "AQUOS 케이타이 FULLTOUCH SoftBank 931SH" 3.8형
qHD (Quarter HD)영어
960
540
16:9
518,400
대표 사례: 스마트폰, (유기 EL TV) 2007년 10월 1일 소니 발표 11형 "XEL-1", (안드로이드 단말기, 액정) 2011년 5월 11일 샤프 발표 "AQUOS PHONE SH-12C" 4.2형
Mac 16″영어
832
624
4:3
519,168
Mac 15″영어
640
870
64:87 (약 3:4)
556,800
WSVGA (Wide Super VGA)영어
1024
600
128:75 (약 17:10)
614,400
대표 사례: 저가형 넷북, (안드로이드 단말기, 액정) 2010년 6월 21일 도시바 발표 "dynabook AZ" 10.1형. 최근 사례, Amazon제 Kindle Fire 7 태블릿.
DoubleVGA영어
960
640
3:2
614,400
HVGA 세로, 가로 2배 규격. 대표 사례: iPhone 4, 4s, iPod touch (4세대), (안드로이드 단말기, 액정) 2010년 10월 4일 KDDI, 샤프 발표 "IS03" 3.5형
iPhone 4″영어
1136
640
71:40 (약 16:9)
727,040
16:9보다 짧은 방향 1화소 많음. 대표 사례: iPhone 5, 5s, 5c, SE, iPod touch (5세대)
일본 액정 TV 많은 해상도 중 하나, 일본 "풀 HD" 별칭 사용. 픽셀 수 2의 21승보다 약간 적다.
DCI 2K영어
2048
1080
256:135 (약 17:9)
2,211,840
영화 디지털 촬영 규격 유명.
WUXGA (Wide Ultra-XGA)영어
1920
1200
8:5 (16:10)
2,304,000
(브라운관 디스플레이) 1996년 10월 소니 발표 24형 "GDM-W900" 표시 가능 해상도 중 하나, (액정 디스플레이) 2002년 3월 21일 애플 발표 23형 "Apple Cinema HD Display M8536", (태블릿, 액정) 2012년 9월 7일 Amazon 발표 "Kindle Fire HD 8.9" 8.9형, Panasonic Let' note 시리즈 채용.
QWXGA영어
2048
1152
16:9
2,359,296
(액정 디스플레이) 2008년 11월 17일 일본 삼성 발표 23형 "SyncMaster 2343BW"
FHD+영어 WUXGA+영어
1920
1280
3:2
2,457,600
(태블릿, 액정) 2015년 3월 31일 마이크로소프트 발표 "Surface 3" 10.8형
QHD (Quad HD)영어
2160
1440
3:2
3,110,400
(태블릿, 액정) 2014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 발표 태블릿 "Surface Pro 3" 12형
FHD+영어
2160
1080
18:9 (2:1)
2,332,800
스마트폰, 5형 액정. "SONY Xperia Ace"
FHD+영어
2280
1080
19:9
2,462,400
스마트폰, 6.3형 액정. "ASUS ZenFone Max Pro (M2)"
FHD+영어
2312
1080
약 19.3:9
2,496,960
스마트폰, 약 6.15형 액정. "Huawei P30 lite"
FHD+영어
2340
1080
19.5:9 (6.5:3=13:6)
2,527,200
스마트폰, 6.65형 유기 EL. "OPPO Reno 10x Zoom"
FHD+영어
2520
1080
21:9
2,721,600
스마트폰, 6.1형 유기 EL. "SONY Xperia 5"
FHD+영어
2436
1125
약 19.5:9
2,740,500
스마트폰, 5.8형 유기 EL. "iPhone XS, iPhone 11 Pro"
UltraWide FHD영어
2560
1080
64:27=4^3:3^3 (약 21:9=7:3)
2,764,800
화면비율 16:9보다 가로폭 넓은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채용. FHD 좌우 320픽셀씩 총 640픽셀 가로 넓음. 제품 예: (액정 디스플레이) 2012년 11월 8일 LG 발표 29형 "EA93"
QXGA (Quad XGA)영어
2048
1536
4:3
3,145,728
VGA 단자 출력 규격상 최대 해상도(설계상 프레임 레이트 60Hz 2560×1600 표시 가능, QXGA 초과 해상도 VGA 채용 극히 적음).
MacBook 12″영어
2304
1440
8:5 (16:10)
3,317,760
(노트북 PC, 액정) 2015년 3월 발표 "MacBook" 12형. (브라운관 디스플레이) 2000년 7월 20일 소니 발매 24형 "GDM-FW900", 동사 구모델 "GDM-W900", 휴렛 팩커드 "HP A7217A" 표시 가능 최대 해상도.
FHD+영어
2688
1242
약 19.5:9
3,338,496
스마트폰, 6.5형 유기 EL. "iPhone XS Max, iPhone 11 Pro Ma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